Screepy

대위법

독립성이 강한 둘 이상의 멜로디를 동시에 결합하는 작곡기법.


'음표 대 음표'를 뜻하는 라틴어 푼크투스 콘트라 푼크툼(punctus contra punctum)에서 유래하는 말로, 음악은 단선율의 경우를 제외하면, 음의 수직적 결합(화음 ·화성)과 수평적 결합(melody)이라는 두 가지 측면을 겸비하고 있는데, 어느 것이 우위에 있는가에 따라서 동성음악(homophony:호모포니)과 다성음악(polyphony:폴리포니)으로 대별된다. 그리고 전자의 기법이 화성법, 후자의 기법이 대위법이다. 그 때문에 다성음악을 대위법적 음악이라고 부를 때도 많다.

대위법에서는 각 성부가 명료하게 식별할 수 있는 선율적 독립성을 지니며, 또한 여러 성부가 일정한 규칙에 따라 결합되고, 전체적인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 서양음악의 역사에서는 16세기 말까지가 다성음악의 시대이며, 18세기 후반부터 19세기 말까지가 화성음악의 시대에 해당하고, 17·18세기 및 20세기는 양자의 공존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연대의 길이로 보아서도, 대위법은 서양음악의 가장 기본적인 기법·원리라고 말할 수 있다. 

대위법의 역사
서양에서 다성음악의 역사는 9세기까지 거슬러 올라갈 수 있는데, 그 기법인 대위법이 체계적으로 발달한 것은 주로 13세기 이후이다. 이 시대에는 기존의 정한가락[定旋律]에 새로운 가락[對位聲部]을 곁들인 것이 보통이었다. 

대위법기법이 가장 고도로 발달한 것은 15·16세기의 플랑드르악파(樂派)로서, 특히 여러 성부 사이의 모방을 주체로 하는 모방대위법(模倣對位法)의 성립은 회화(繪畵)에서의 원근법의 성립에 상당하는 중요성을 지니고 있다. 그 가장 엄격한 형태가 ‘카논’이며, 가장 고도로 발달한 작법 또는 형식이 뒤에 나온 ‘푸가’이다. 이들 기법을 종합하여 고전적 완성을 가져온 사람이 팔레스트리나였다. 

또 16세기 말까지의 대위법은 교회선법에 지배되어 순수히 선적(線的)·수평적 작법을 중요시했으므로 ‘선법대위법(旋法對位法)’, ‘순수대위법(純粹對位法)’, ‘선적대위법(線的對位法)’ 등으로 불리고 있다. 17·18세기에는 점차 조성이 확립되고, 그에 수반해서 기능화성(機能和聲)이 성립되었으므로, 대위법도 조성에 지배되어, 화성진행에 바탕을 두게 되었다. 이것을 ‘조성적대위법’, ‘화성적대위법’ 등으로 부르고 있다. 

이러한 대위법을 발전의 정점에까지 이르게 한 것이 J.S.바흐이다. 18세기 후반에서 19세기 말에 이르는 고전파·낭만파시대에는 화성 중심의 호모포니가 우위를 차지했으나, 대위법도 곡의 일부(예컨대, 소나타 형식의 전개부)에서는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그리고 20세기가 되자, 특히 12음음악 중에서 대위법은 다시 기본적인 기법의 하나로서 부활하고 있다. 

작곡법 교정 중 대위법의 습득
작곡법 교정 중에서 대위법의 습득은 화성법과 함께 불가결한 것이다. 원가락으로 정해져 바탕이 되는 것을 정한가락(cantus firmus)이라 하고, 이에 대립하여 붙여지는 가락을 대한가락(Gegenstimme)이라고 한다. 

대위법의 교육은 일반적으로 정한가락에 대한가락을 붙이는 형태로 이루어지며, 1음표에 같은 길이의 1음표를 붙이는 ‘1대 1’의 등시대위법(等時對位法)에서 출발하여 ‘1대 2’, ‘1대 4’ 이상의 부등시대위법(不等時對位法) 등으로, 나아가 최후에는 여러 형식을 종합한 ‘화려대위법(華麗對位法)’에 이른다. 

이상의 악보는 어느 것이나 2성대위법의 예인데, 이밖에 3성·4성대위법 등 다성부의 대위법도 요구된다. 더욱 고도의 기법으로서 성부를 상하로 교환하는 ‘자리바꿈대위법’이 있고, 그 교환이 몇 개의 성부 사이에서 이루어지는가에 따라서 ‘2중대위법(2성부)’ 또는 ‘3중대위법(3성부)’ 등으로 불린다. 







대위법이란 점 대 점(point counter point)에서 비롯된 명칭이며, 이 경우의 점은 음표를 뜻한다.
오늘날에는 작곡 기술의 일부로서 독립된 부분을 이루며, 화음 연결을 대상으로 하는 기본적 화성법과 근본적으로 대조되는데, 주로 음의 흐름 즉 선율선을 위한 서법을 취급한다. 이를테면 푸가와 같은 악곡에 있어서는 그 기초가 되는 것이다.
대위법의 실습은 정선율*(대부분의 경우 온음표만에 의한 선율이다)에 대해 온음표대선율, 2분음표대선율, 4분음표대선율, 2분음표에 의한 당김(移勢)대선율, 이상의 각 요소를 종합한 화려대선율을 차례로 학습하는 것인데, 정선율에 대해 대선율이 1성일 때에는 2성대위법, 2성일 때에는 3성대위법, 이하 4성대위법에서 8성대위법까지 있는데, 3성대위법부터는 앞서 열거한 여러 대선율이 동시에 적절히 사용되거나, 화려대선율만 2성부 이상에 사용되며, 여러 형태의 혼합대위법도 만들어지는 것이다.
또, 이 경우 장 · 단의 두 선법에 있어서 뿐만 아니라, 프리기아, 도리아, 히폴리디아, 에올리아, 히포도리아 등의 교회선법에 있어서도 실습된다.
그러나 어느 것이든 대위법에 있어서 화성은 화음면에서 매우 간소해서, 사용되는 화음은 완전어울림화음의 밑자리 또는 첫째자리바꿈꼴에 한하며, 딸림7화음을 포함하여 일반적인 안어울림화음은 걸림 수법으로 당김대위법 및 화려대위법에서만 허용될 뿐이다. 그리고 화성법에 비해 그 조바꿈은 관계조에 한하며, 원격 조바꿈을 금한다는 좁은 의미로 취급된다. 또 변성음(變性音), 앞선음, 앞꾸밈음 에샤페 등 화성법에서 볼 수 있는 독자적인 기법은 대위법에서 제외되고 있다.
이와 같이 대위법은 가장 평범한 정선율 위에 간단한 화성으로 쓰여지는 것이지만, 2분음표대선율 이상에 있어서는, 지남음 또는 도움음 등 선율적으로 매우 원활한 음을 (화음구성음으로 간주하지 않고) 사용할 수가 있으며, 이 음들과 당김대선율을 적절히 사용할 때 풍부한 음의 배합을 이룰 수 있는 것이다. 이것은 우선 화려대선율에 있어서 특히 발휘되는 것인데, 3성 이상이 되기 때문에 고도의 기술을 점차 수반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에 앞서 말한 기본적인 화성법과 대위법의 대조점, 즉 화음의 연결을 위주로 다루는 기본적 화성법에서는 음의 종적(縱的)인 관계에 중점을 두지만, 그에 대해 대위법에서는 음의 횡적(橫的)인 관계를 궁극적인 대상으로 하는 점에서 분명히 대조를 이룬다. 물론 이처럼 단정한다 해도, 현대의 발달한 화성법에서는 화성법 그 자체 안에 대위법적 요소가 충분히 포함되어 있으며, 이러한 대조가 단순히 근원적인 고찰에 불과함을 이해해야 한다.
또, 대위법의 기법은 필연적으로 모방이라는 특수 기법의 기초가 되기도 한다. 모방은 여러 가지의 형태에 의해 행해지는데, 하나의 선율에 대해 그것을 따라가면서 여러 가지로 모방하는 것은 음악 본질의 어떤 면에 일치하는 표현 수단이며, 사실 17세기 무렵부터의 종교적 합창곡에서 흔히 볼 수 있을 정도였다. 특히 카논*이라는 기법은 이러한 모방 중 가장 엄격한 예이며, 2부에서 8부까지 행해지는 것이다. 또 이러한 모방 기법을 포함하는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가 있는데, 2중합창곡으로서 2개의 4부합창곡을 동시에 진행시키는 것도 하나의 수단이며, 이것도 학습해야 하는 것이다.
지금까지 말한 것을 일반적으로 홑 대위법이라고 하는 것에 대해, 겹대위법 또는 자리바꿈 대위법이라고 하는 부문이 있다. 즉, 대위법에서는 둘째자리바꿈꼴을 부인하는 것이며, 따라서 겹대위법 또는 자리바꿈대위법에서는 동시에 진행하는 각 선율이 저음으로서의 기능을 가질 수 있도록 동등하게 처리되어야 하는 것이다. 푸가 항목에서의 대위주제는 이 범주에 있다. 또한 이 수법은 8도, 10도, 12도의 음정 간격에서 탐구해도 좋다. 그리고 그 중 8도에 의할 때 3중 또는 4중의 자리바꿈이 가능한 대위법을 만들 수가 있다.
대위법은 이처럼 차례로 발전하는 것인데, 서로 관련해서 흐를 때의 순수한 음의 배합이라는 점에서 보아 법칙이 가장 정확한 양상을 띠는 것이라고 할 수가 있다.
이상은 오늘날 학습하는 대위법을 개관한 것인데, 대위법의 요소, 즉 2개의 소리를 결합하면서 다른 선율을 동시에 부른다는 것은 오래 전에 나타난 것이다.
이미 9세기가 끝날 무렵, 아일란드 사람은 스코트 엘리제느가 이 새로운 기법의 창시자라고 한다. 그 후에 푹발트나 귀도 다레쪼 등이 이러한 대위법의 정신을 추구하여 오르가눔*을 확립하기 시작했다. 그리고 오르가눔에 대해, 데샹(=디스칸투스)이 일어나 점차 정비되면서 12세기에 이르러 월터오딩턴에 의해 대위법의 토대가 완성되어, 대위법이라는 명칭이 처음으로 등장하게 되었다.
14세기 무렵부터 이 대위법의 기법은 더욱 더 번영했고, 카논이 점차 완성되었으며, 그 후 15세기 및 16세기에 걸쳐 이탈리아에서 이 부류의 기술이 점점 심화되었는데, 이를테면 짜를리노와 같은 우수한 음악이론가가 나타나 겹대위법 즉 자리바꿈대위법 등이 완성되기에 이르렀다.
근대에 들어와 독일에서 많은 음악이론가, 이를테면 푹스, 마르푸르크, 숄쯔, 리히터, 리만 등이 나타나 이 방면의 진전에 큰 공헌을 했다. 프랑스에서는 18세기 말 무렵에 콩세르바트와르가 창립되어 대위법 기술은 거기서 추진되었다. 예컨대 케루비니 등이 이 면의 선구자가 되어 그 후 바장, 뒤브와 등의 음악이론가들이 매우 위대한 성과를 결실시켰다.
대위법은 이렇게 발달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으며, 앞서 말했듯이 그 기술도 완성되었고, 작곡 학습을 위한 부문으로서 충분히 정비되어 있는데, 특히 작곡 기술의 연습에 가장 중요한 푸가에 있어, 일관된 대위법 기술은 그 기초가 된다는 뜻에서 불가결하고 가장 중요한 것이다.
또, 실제의 음악 작품에 있어서, 작품 그 자체의 내용에 대위법적 기술이 구사되어 있는 경우를 흔히 볼 수가 있다. 이것은 대위법이 음의 횡적인 흐름을 위한 수법이기 때문에, 음악의 본질적인 면에서 실로 당연한 것이라고 하겠다. 

'Screepy' 카테고리의 다른 글

Good Kid, M.A.A.D City 피치포크 리뷰 해석  (0) 2013.05.13
양비론  (0) 2013.05.13
ㄷㄱ  (0) 2013.05.13
스윙스의 평범한 추억  (5) 2013.05.13
방금 골목 걸어가는데 앞서 가던 여성분이...  (0) 2013.05.13